google-site-verification=M7kk7BVOT7enbrdH_6w_MAy7jKbGFbUfiDlmOPXVVc8

ABOUT ME

맛집, 책, 가구, 제품 등 모든 리뷰

Today
Yesterday
Total
  • [일상] 글쓰기에 대한 끄적임
    일상 2023. 12. 23. 11:08
    728x90



    대통령의 글쓰기!
    이번 크리스마스 연휴
    책 한 권 들여다 보기
    그 첫 시작.

    최근 유독 글을 쓸 일이 많다
    아니 만들고 있는 것일까?

    블로그를 하면서 글을 적고
    또 읽은 책을 요약하며 정리하고
    업무로도 글을 쓰기도 한다.

    잘 보던 책을 덮고 글을 쓰는 건
    한 가지 문구 덕분이다.

    한 줄 쓰고 나면 더 이상 쓸 말이 없다?
    자료 부족 때문이다.

    이 말이 격하게 다가온 건
    최근 말씀자료를 쓰면서다.

    한가지 논점에 대해서
    대략 1-2분 정도 할 말을 써야 했다.

    하지만 한 장짜리 관련 자료 외에
    다른 자료가 없었다.
    막연한 상황에 어떻게 말을 지어낼지
    그게 고민이 되었다.

    인터넷을 찾아봐도 알 수 없는 내용
    다행히 관련 기관 사람을 만나는 자리에
    동석을 하게 되었고 그 곳에서
    관련 사업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
    머릿 속에 내용을 정리하고 글을 쓸 수가 있었다.

    쓸 말이 생각이 나고 써진 것이다,

    며칠 후 또 비슷한 상황이 닥쳤다.
    이번에는 현장을 간다거나
    관련 기관을 만나지 않았다.

    똑같이 관련 자료가 없었지만
    대략적인 내용에서
    사업이 이야기 하는 방향을 찾고
    구글링의 힘으로
    지난 번과는 다르게
    말씀자료를 잘 써내려갔다.

    물론 참고용이고
    내가 쓴 글이 아닌
    다른 이야기를 하겠지만 말이다.

    생각을 한다면
    말씀자료, 인터뷰 자료는
    결국 내가 아닌 말을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
    써내려 가야 한다.

    나는 보통 2-3명의
    말씀자료를 쓴다.

    알고는 있지만
    일면식 없는 사람이
    해당 사업을 바라보는 생각, 바람
    그리고 기대와 우려 등등을
    담아 낼 수는 없다.

    결국 나의 생각에서 비롯된
    언어와 생각의 연결고리에 기반한 글을
    써내려간다.

    최대한 기교는 제외하고
    객관적이 사업에 대한 내용을 담은
    딱딱한 말.

    그런데 글은, 연설이라고도 할 수 있는 글은
    최대한 기교를 빼고 쉬운 말로
    전달하고자 하는 글을 딱 전달하는
    글이면 될 것이다.

    초입에 아직 많은 내용이 남았지만
    생각을 정리하고 글을 쓸 때
    어떻게 생각하고 말을 할 지
   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을 듯하다.

    #대통령의글쓰기

    728x90
Designed by Tistory.